DeFi 대출 시장의 실사용 프로젝트
HUMA(HUMA Protocol)는 실물 기반 채권을 담보로 한 탈중앙화 금융(DeFi) 대출 프로토콜로,
현실 자산(RWA, Real World Assets)을 블록체인과 연결하여
신용 기반 대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기존 DeFi가 암호화폐 담보에 의존했던 반면, HUMA는 실물 매출 채권 및 금융 이력을 기반으로
현실 경제와 연결된 대출 시장을 구현하고 있으며,
기업 및 소상공인이 실제 자금 흐름에 따라 대출을 받을 수 있는 Web3 기반 금융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Paypal Ventures, Circle, Polygon 등 굵직한 기관들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으며,
AI 및 온체인 신용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탈중앙화된 신용평가 인프라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 상장정보 : 해외 - OKX, Bitget, BingX, MEXC, Gate io 등
국내 - 미상장
- 2025.06 기준
- 시가총액 : 약 $85M
- 현재 가격 : 약 $0.18
- 유통량 : 약 470M 토큰
■ 목표 및 핵심기능
HUMA의 주요 목표 및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RWA 기반 대출 플랫폼 : 실물 매출채권 기반의 탈중앙화 대출 시스템. 현실 자산을 블록체인상에서 관리.
- 신용 기반 프로토콜 : 사용자 신용 이력 기반의 대출 구조로, 기존 암호화폐 담보의 한계를 극복.
- DeFi 연동성 : USDC 등 주요 스테이블 코인과의 유동성 풀을 통해 대출 및 유동성 제공 가능.
- 투명한 데이터 기반 : 온체인상 대출 흐름과 상환 데이터 모두 실시간 확인 가능, 신뢰성 제고.
- 기관 연계 확장성 : 파트너 기업 및 기관 대출까지 연결 가능하여 Web3와 Web2 금융을 연결하는 역할 수행.
■ VC 및 투자현황
HUMA는 다수의 대형 기관들로부터 주목받는 프로젝트로, 아래와 같은 투자 및 협업 사례가 있습니다:
- Paypal Ventures : HUMA 프로토콜에 전략적 투자 진행
- Circle : USDC 연동 파트너십 체결, 실제 대출 유동성 제공
- Polygon Ventures : 확장성 있는 RWA 인프라로서 공동 개발 지원
- Superfluid 등 DeFi 프로젝트와 연계 : 다양한 DeFi 앱에서 RWA 대출 연동 실험
■ 차트-일봉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가중이동평균선(W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HUMA 코인은 상장한지 얼마 안된 초기프로젝트입니다.
상장이후 900%의 상승(첫번째 캔들 꼬리까지)을 보여주고 가격조정을 주고있는 모습입니다.
채널 상단과 직전저점 매물대 상에서 캔들이 방황하고있지만, 5이평 아래에서 캔들이 위치해있기에
조금더 내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우선은 초반부이기에 조금 더 지켜봐야할것같지만 채널상든을 뚫어주는 거래량이 나온다면
그때는 매수고려를 해볼수도있겠습니다.
하지만 지금 흐름상으로는 더 지켜봐야하며, 만약 차트가 계속 흘러 저점에서 거래량이 터져주기만 한다면 적극매수 해볼만한
프로젝트일 것 같습니다.
아직 국내 거래소에서는 상장되어있지않기에 해외거래소를 이용하긴해야되지만 매수해뒀다가 국내거래소 상장이슈터지면
수익분을 또 챙겨 갈 수있을 프로젝트입니다.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속도, 세이 네트워크[SEI] (6) | 2025.06.25 |
---|---|
글로벌 송금 인프라의 대표주자, 리플 [XRP] (10) | 2025.06.17 |
DOGE 다음은 WIF??? [WIF] (8) | 2025.06.10 |
PONKE가 미친다! 왜 사람들이 이 밈코인을 매집할까? [PONKE] (6) | 2025.06.10 |
Virtuals Protocol 다음은 Wayfinder??? [PROMPT] (8) | 202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