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속도, 세이


SEI(SEI Network)는 초고속 거래 처리와 낮은 수수료를 무기로 탈중앙화 금융(DeFi)

Web3 트레이딩 인프라에 최적화된 Layer 1 블록체인 플랫폼입니다.
Cosmos SDK 기반으로 개발된 SEI는 기존 블록체인의 한계였던 처리속도와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며,

Orderbook 기반 DEX 생태계에 특화된 기술 구조를 채택했습니다.

블록 생성과 실행을 병렬로 처리하는 Twin-Turbo 구조, 초당 수천 건 이상 처리 가능한 TPS(초당 트랜잭션 수),

그리고 빠른 최종 확정 속도(400ms)는 글로벌 개발자 및 트레이더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현재 SEI는 미국, 아시아, 유럽을 포함한 다양한 지역에서 개발자 생태계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확대 중이며,

Cosmos 생태계와의 연동성도 지속적으로 강화되고 있습니다.


 

■ 상장정보 : 해외 - Binance, Coinbase, OKX, Kraken 등 대부분의 메이저 거래소
                     국내 -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주요 거래소 상장

  • 2025.06 기준 시가총액 : $800M  (약 40조 원)
  • 현재 가격 : 약 $0.28
  • 유통량 : 약 28억 SEI

■ 목표 및 핵심기능

SEI의 주요 목적과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트레이딩 특화 Layer 1:
    Orderbook 구조의 탈중앙화 거래소(DEX)에 최적화된 고성능 메인넷 제공
  2. 초고속 처리 성능:
    블록 생성과 실행을 병렬로 처리하는 Twin-Turbo 구조 → 평균 블록타임 0.5초, TPS 20,000+ 수준
  3.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
    낮은 수수료, 확장 가능한 구조로 다양한 금융 애플리케이션 유입 유도
  4. IBC 기반 상호운용성:
    Cosmos 생태계와 호환되는 IBC 통신 지원 → 타 체인과 유연한 연동 가능
  5. 개발자 친화성:
    CosmWasm 스마트 컨트랙트 지원, 개발 속도와 유연성 확보

■ VC 및 투자현황

SEI는 미국 및 아시아 중심의 다양한 투자사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으며, 코인베이스 벤처스 등 유력 기관이 초기 투자에 참여하였습니다.

  • Multicoin Capital, Jump Crypto, Coinbase Ventures
  • Binance Labs: SEI 생태계 성장 지원 파트너로 참여
  • 2024년 메인넷 이후 탈중앙화 인프라 확장 중심의 투자 유치 지속 중

■ 차트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가중이동평균선(W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SEI코인 차트입니다.

차트가 많이 내려온상태인데 한나씩 확인해보겠습니다.

앞 이미지에서 보시듯이 지지라인 최하단을 지지받으면서 반등을 해주고있는 모습입니다.

0.13가격의 반등이 200이평과의 간격을 줄여주는 신호탄이 되어주었으며, 이후 가격은 상승추세를 만들어가고있는 모습입니다.

현재는 200이평을 거래량을 동반하여 돌파해주었으며, 앞전 저항라인에 도달해있습니다.

매매 셋업은 두가지로 가져가 볼 수 있을것 같습니다.

 

<1.눌림 매수>

지금 위치에서 저항이 나오고 하락한다면 0.2178가격대 부근에서 받아볼수있을것 같습니다.

200이평과 50이평이 근처에 있을것으로 예상되는데 그자리에서 반등이 나온다면 아주 좋은 손익비를 가질수 있을것 같습니다.

 

<2.돌파매수>

만약 저항대를 뚫고 올라간가면 돌파매수로 타점잡고 매매해볼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급격히 올라 갔으므로 조정의 리스크는 분명 존재 할 것입니다.

손익비 측면에서 나쁘지는 않지만 뜻대로 움직이지 않는것이 차트이기에 손절은 짧게 잡고 도전해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또는 5이평지지가 나올때 매수도 괜찮아보입니다.

글로벌 송금 인프라의 대표주자, 리플


XRP(XRP Ledger)는 빠르고 저렴한 국제 송금을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반 결제 네트워크입니다.
리플(Ripple Labs)이 개발에 참여한 이 프로젝트는, 기존 은행 간 송금 시스템(SWIFT)의 속도와 수수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시간 송금(Real-time Settlement)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XRP는 탈중앙화된 XRP Ledger 상에서 작동하며, 초당 수천 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는 성능과 낮은 수수료로 인해
금융기관 중심의 글로벌 결제 솔루션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미국, 일본, 중동, 유럽 등지의 다수 은행 및 핀테크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소송 이슈가 진정 국면에 접어들며,

다시금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코인입니다.


■ 상장정보 : 해외 - Binance, Coinbase, OKX, Kraken 등 대부분의 메이저 거래소
                     국내 - 업비트, 빗썸, 코인원 등 주요 거래소 상장

  • 2025.06 기준 시가총액 : 약 $30B (약 40조 원)
  • 현재 가격 : 약 $0.50
  • 유통량 : 약 54B XRP

■ 목표 및 핵심기능

XRP의 주요 목적과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제 송금 특화 : 기존 금융 시스템보다 빠르고 수수료가 저렴한 글로벌 송금 시스템 제공
  2. XRP Ledger : 고속·저비용의 탈중앙화 원장 시스템으로 초당 수천 건의 거래 가능 (TPS 약 1,500+)
  3. 브리지 자산 역할 : 서로 다른 국가 통화 간 중개 역할 수행 (예: USD → XRP → JPY)
  4. 확장성 및 친환경성 : 비트코인 대비 에너지 소모가 매우 적으며, 검증자 기반 구조로 확장성 우수
  5. 기업 파트너십 : RippleNet을 통해 다양한 은행·핀테크 기업과 실제 송금 네트워크 운영 중

■ VC 및 투자현황

XRP는 Ripple Labs를 중심으로 여러 기관들과 협력하며, 전통 금융 및 암호화폐 생태계를 연결하고 있습니다:

  • Santander, SBI Holdings, PNC 등 글로벌 은행과 파트너십 구축
  • Ripple Labs가 XRP 생태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온체인 기술 및 정책 로드맵 수립
  • SEC 소송 완화로 인해 기관 투자자들의 관심이 다시 집중되는 추세

참고: Ripple Labs는 XRP를 “증권”이 아닌 “실용 토큰”으로 보고 있으며, SEC와의 법적 공방은 장기적으로 시장 규제 방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차트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가중이동평균선(W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코인좀 한다는 사람들은 다~아는 리플입니다.ㅋㅋㅋ

리플 월봉차트인데 22년5월부터 시작한 횡보가 24년11월달에 미친듯한 상승을 보여주면서

립또속이 이번엔 변했어요~를 보여주었습니다.

최근 시점으로가서 한번 뜯어보겠습니다.

폭발적인 상승이후에는 횡보만 보여주는 모습인데, 3개월전부터는 윗꼬리 밑꼬리 모두 길게 만들어져있는것이...

그래도 이번달 월봉 캔들이 아직 13일 정도 남은 시점이지만 5이평을 올라탈려고하는 모습은 보이네요~!

13일간의 가격변동이 중요한 시점이 될것같습니다.

일봉상 이제 수렴의 끝자락일까요 과연??

최고점 찍고 단기적으로 조정을주면서 하락하다 지금은 200이평 주변에서 캔들들이 맴돌고있습니다.

프랙탈 안에서 보면 추세선 상방돌파후 리테스트까지는 끝난 상태입니다.

아무래도 이평들의 정배열이 되는 순간이 중요할것으로 보이는데 위 상승추세선

뚫을때쯤 이평정배열이 나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DeFi 대출 시장의 실사용 프로젝트


HUMA(HUMA Protocol)는 실물 기반 채권을 담보로 한 탈중앙화 금융(DeFi) 대출 프로토콜로,
현실 자산(RWA, Real World Assets)을 블록체인과 연결하여

신용 기반 대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기존 DeFi가 암호화폐 담보에 의존했던 반면, HUMA는 실물 매출 채권 및 금융 이력을 기반으로

현실 경제와 연결된 대출 시장을 구현하고 있으며,
기업 및 소상공인이 실제 자금 흐름에 따라 대출을 받을 수 있는 Web3 기반 금융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Paypal Ventures, Circle, Polygon 등 굵직한 기관들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으며,
AI 및 온체인 신용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탈중앙화된 신용평가 인프라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 상장정보 : 해외 - OKX, Bitget, BingX, MEXC, Gate io 등
                     국내 - 미상장

  • 2025.06 기준
  • 시가총액 : 약 $85M
  • 현재 가격 : 약 $0.18
  • 유통량 : 약 470M 토큰

■ 목표 및 핵심기능

HUMA의 주요 목표 및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RWA 기반 대출 플랫폼 : 실물 매출채권 기반의 탈중앙화 대출 시스템. 현실 자산을 블록체인상에서 관리.
  2. 신용 기반 프로토콜 : 사용자 신용 이력 기반의 대출 구조로, 기존 암호화폐 담보의 한계를 극복.
  3. DeFi 연동성 : USDC 등 주요 스테이블 코인과의 유동성 풀을 통해 대출 및 유동성 제공 가능.
  4. 투명한 데이터 기반 : 온체인상 대출 흐름과 상환 데이터 모두 실시간 확인 가능, 신뢰성 제고.
  5. 기관 연계 확장성 : 파트너 기업 및 기관 대출까지 연결 가능하여 Web3와 Web2 금융을 연결하는 역할 수행.

■ VC 및 투자현황

HUMA는 다수의 대형 기관들로부터 주목받는 프로젝트로, 아래와 같은 투자 및 협업 사례가 있습니다:

  • Paypal Ventures : HUMA 프로토콜에 전략적 투자 진행
  • Circle : USDC 연동 파트너십 체결, 실제 대출 유동성 제공
  • Polygon Ventures : 확장성 있는 RWA 인프라로서 공동 개발 지원
  • Superfluid 등 DeFi 프로젝트와 연계 : 다양한 DeFi 앱에서 RWA 대출 연동 실험

■ 차트-일봉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가중이동평균선(W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HUMA 코인은 상장한지 얼마 안된 초기프로젝트입니다.

상장이후 900%의 상승(첫번째 캔들 꼬리까지)을 보여주고 가격조정을 주고있는 모습입니다.

채널 상단과 직전저점 매물대 상에서 캔들이 방황하고있지만, 5이평 아래에서 캔들이 위치해있기에

조금더 내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우선은 초반부이기에 조금 더 지켜봐야할것같지만 채널상든을 뚫어주는 거래량이 나온다면

그때는 매수고려를 해볼수도있겠습니다.

하지만 지금 흐름상으로는 더 지켜봐야하며, 만약 차트가 계속 흘러 저점에서 거래량이 터져주기만 한다면 적극매수 해볼만한

프로젝트일 것 같습니다.

아직 국내 거래소에서는 상장되어있지않기에 해외거래소를 이용하긴해야되지만 매수해뒀다가 국내거래소 상장이슈터지면

수익분을 또 챙겨 갈 수있을 프로젝트입니다.

DOGE 다음은 WIF???


WIF(Wif Hat)은 Solana 생태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밈(Meme) 코인이자,

2024-2025년 밈코인 시즌의 선두주자로 떠오른 프로젝트입니다.

강아지가 모자를 쓴 단 하나의 밈으로 시작됐지만,
단순한 유머를 넘어 초거대 커뮤니티, 강력한 펌핑, 실사용성까지 거론되는 새로운 종류의 밈 자산입니다.

2025년 6월 기준,
현재 가격은 약 $2.15, 시가총액은 $2.1B(약 2조 8천억 원) 수준이며
Binance, OKX, Coinbase, Kraken 등 글로벌 메이저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Wen Hat?”에서 시작된 이 짧은 밈이 글로벌 커뮤니티와 Web3를 관통하는 강력한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WIF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커뮤니티 기반 자산’이라는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 상장정보 : 해외 - HTX, Bitget, BingX, MEXC, Bybit 등
                     국내 - 빗썸

2025.06.09일 기준

시가총액 : $2.1B (약 2조 8천억 원)

현재 가격 : 약 $2.15

ATH(최고가): 약 $4.80 (2024년 3월)

■ WIF의 특징 및 핵심요소

  1. 밈 그 이상의 의미:
    • 단순 이미지가 아닌, Solana 커뮤니티 전체의 자부심이자 브랜드
    • “$WIF is culture”라는 말이 존재할 정도
  2. 강력한 커뮤니티 기반:
    • 별도의 팀, 로드맵, 백서 없이도 글로벌 커뮤니티 주도로 성장
    • 커뮤니티 DAO, 밈 생성자, NFT 아티스트들이 자발적으로 WIF 생태계를 확장
  3. Solana 기반의 대표 밈 자산:
    • $BONK와 함께 Solana 밈 생태계의 양대 산맥
    • Solana의 빠른 전송 속도와 저렴한 수수료를 기반으로 확장 중
  4. 탈중앙화와 순수성:
    • 투자자도, 프라이빗 세일도, VC도 없음
    • 완전히 자연 발생적인 커뮤니티 중심 프로젝트

■ 커뮤니티와 펌핑 사례

  • 2024년 3월, Elon Musk의 X(구 트위터) 언급으로 단숨에 시총 10억 달러 돌파
  • Solana 커뮤니티 밈 대회, WIF NFT 굿즈 출시 등 실사용 확대 중
  • 해외 유명 인플루언서들과 크립토 아티스트들의 연이은 언급으로 지속 화제

■ 주의할 점도 함께

  • 로드맵이나 백서 없이 완전한 커뮤니티 자율 성장형 밈코인
  • 기대가 너무 과열될 경우, 고점 물림 가능성도 존재
  • ‘무엇이든 가능하지만 아무것도 보장되지 않는’ 순수 밈 특성 주의 필요

■ 차트 - 주봉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지수이동평균선(E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주봉차트상 위의 매물대 저항라인을 뚫지못하고 계속 도전중인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번주 봉마감이 20이평 위에서 하게되면 저항라인을 살짝 뚫어볼수도 있겠다 싶긴하지만

아직 힘은 윗 매물대보다는 약한 모습입니다. 

일봉상의 모습은 50이평 지지 받고 오르면서 이평들이 많이 모여있습니다.

정배열의 요건이 다되어가는데 주봉 저항라인과 정배열만 완성된다면 한번 매수해볼 만할것 같습니다.

PONKE가 미친다! 왜 사람들이 이 밈코인을 매집할까?


PONKE는 밈(Meme) 문화와 커뮤니티 중심 생태계를 기반으로 한 Web3 시대의 차세대 소셜+보상형 코인 프로젝트입니다.
2025년 6월 기준, 가격은 약 $0.015, 시가총액은 $35M 수준이며,

Binance, OKX, Bybit 등 주요 거래소 상장을 목표로 프로젝트를 확장 중입니다.
핵심은 커뮤니티 기반의 밈 생태계와 ‘Ponke Portal’을 통한 Web3 보상 구조의 실현에 있습니다.

PONKE는 단순한 밈 코인이 아니라,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실제 보상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있습니다.
현재 다양한 커뮤니티 미션, NFT 연계 보상 시스템, 실시간 트래킹 기능이 개발 중입니다.

Ponke Labs가 주도하며 다수의 Web3 VC 및 인플루언서, 커뮤니티 DAO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탈중앙 소셜+AI+보상 구조’를 결합한 Web3 밈 코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상장정보 : 해외 - HTX, Bitget, BingX, MEXC, Bybit 등
                     국내 - 빗썸

2025.06.09일 기준

시가총액 : $35.17M (약 470억 원)

현재 가격 : 약 $0.015

■ 목표 및 핵심기능

PONKE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밈 기반 보상 구조: 커뮤니티 미션, 밈 제작, SNS 공유 등을 통해 토큰 보상 획득
  2. Ponke Portal: 커뮤니티 활동 및 랭킹 기반 NFT 획득 → NFT 스테이킹을 통한 추가 수익
  3. PONKE Track: 유저 활동 데이터 시각화, 리더보드 구성, NFT 레벨업 트래킹 기능
  4. 커뮤니티 DAO: 사용자 투표 기반 밈 캠페인 결정 및 토큰 배분 구조 설계

■ VC 및 투자현황

PONKE는 Ponke Labs가 개발하며, 다양한 VC 및 커뮤니티 DAO들이 협력 중입니다:

  • BitMart: 최근 커뮤니티 투표를 통해 상장
  • MEXC: 런치패드 및 에어드랍 캠페인 진행
  • 기타: 일부 미공개 기관들의 전략적 투자가 진행되었으며, 소문에 따르면 “다수의 KOL이 초기 투자자로 참여”했다는 언급도 있습니다.

■ 차트 - 일봉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지수이동평균선(E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PONKE차트 전체 모습입니다. 하나씩 확인해보겠습니다.

6월10일 기준 오늘 오전부터 10%넘게 급등해주는 모습 보여주고있습니다.

일봉상 하락추세선 및 상승추세선의 수렴부 끝나락에 거의 도달 하였으며, 

모든 이평또한 모여들기 시작하였습니다.

여기서 패턴하나 보이는데 아래 사진 보시죠

크게 역해숄 그리면서 상승해주엇다가 리테스트까지 끝마치고 쌍바닥 만들면서 단기 추세선도 돌파해주는 모습입니다. 

나쁘지 않죠???

200이평 살짝위로 주봉 주요 넥라인이 존재하여서 지금 매수한다면 약 37%의 수익 도전은 가능 할 것 같습니다.

손절은 지지라인 깨지면 손절하는걸로 잡고 접근하면 좋겠네요~!

판단 잘 하셔서 성투하세요~!

Virtuals Protocol 다음은 Wayfinder???


Wayfinder(PROMPT)는 AI를 활용하여 멀티체인 DApp을 자동 탐색하고 실행하는 AI 에이전트 생태계 프로젝트입니다.

2025년 6월 9일 기준, 가격은 약 $0.20, 시가총액은 $45M 수준이며

Kraken·Binance·Coinbase 등 주요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핵심은 ‘Wayfinding Paths’와 ‘Graph’를 통해 온체인 자율 네비게이션을 구현,

비전문 사용자도 자연어 챗봇으로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만드는 것입니다.
Parallel Studios가 개발하고 Binance, Bitget 등의 기관이 지원 및 상장, Airdrop을 진행한 이 프로젝트는

AI × Web3 융합의 대표 주자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상장정보 : 해외 - OKX, Bitget, BingX, MEXC, Gate io 등
                     국내 - 빗썸

2025.06.09일 기준

시가총액 : $45.13 M (약 600억)

현재 가격 : $0.20

 

■ 목표 및 핵심기능

Wayfinder의 궁극적인 비전과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AI 에이전트(Shells)에 지갑·메모리 시스템을 부여, 멀티체인 자산 운용 및 자율 트랜잭션 수행
  2. Wayfinding Paths라 불리는 “스마트 온체인 지도”를 통해 AI가 계약, 브리지, DApp 상호작용을 자동화 
  3. Wayfinder Graph: 온체인 애플리케이션과 자산 간 연결도 구축, 트레이서블하고 프로그래머블한 지형도 제공
  4. 사용자 접근성 향상: 비전문가도 LLM 기반 챗봇 인터페이스를 통해 복잡한 DApp 기능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 

■ VC 및 투자현황

Wayfinder는 Parallel Studios가 개발하고, Binance, Bitget 등 주요 거래소 및 기관들과 협력했습니다:

  • Bitget: 최근 PROMPT 토큰 상장
  • Binance: 토큰 출시(상장) 및 에어드롭 캠페인 진행
  • 백서 또는 공식 정보에선 기관 VC 리스트 명단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메이저 기관이 지원해왔다”라는 언급이 있습니다 .

■ 차트-일봉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지수이동평균선(E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일봉상 하락 추세선의 끝자락을 향해 가고있는것 같습니다.

직전 저점에서 계속된 저항이 발생하고있으며(위 초록색박스라인) 현 위치에서 쌍바닥패턴을 만드는 모습도 보입니다.

RSI도 상승 다이버전스가 출현해 있습니다만...거래량이 아직 살짝 아쉽습니다.

이평상으로도 아직 20이평 아래에 위치해 있으며, 이평의 형상이 아직은 상방으로 올라가는데 조금 걸리지 않나 싶습니다.

따라서

이런 식으로 옆으로 조금 더 밀어주면서 매물대를 형성하면서 20이평위로 캔들이 올라탔을때 진입해볼까 싶습니다.

기대값은 직전 최고점기준 192%이며 1:1비율로 상승한다는 가정하에 766%의 수익률이네요~!

시총도 낮고 아직 코인장이 하락장의 국면이 아닌 이 시점에 바닥코인 찾아서 냠냠해볼까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