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정보전의 지휘관, 팔란티어


팔란티어(Palantir Technologies Inc.)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부 및 민간 부문에 강력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기업입니다.
미국 정부기관(국방부, CIA 등)과의 협업으로 널리 알려졌으며, 복잡한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현재는 국방, 금융, 제조,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으로 확장 중이며, 특히 AI 기술을 접목한 분석 도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 상장정보 : NASDAQ - PLTR

팔란티어는 2003년 피터 틸(Peter Thiel)과 전직 PayPal 창립자들이 설립하였으며, 2020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직상장(Direct Listing) 방식으로 상장되었습니다.
대표 제품으로는 Gotham(정부기관용 분석 플랫폼), Foundry(기업용 분석 플랫폼), Apollo(배포/운영 플랫폼)이 있습니다.

미국 정부뿐만 아니라, 글로벌 제조사, 제약사, 에너지 기업들과도 협력하며 AI 기반 데이터 분석의 중심에 서 있는 기업입니다.

 

■ 장점

  • 독보적 데이터 분석 역량 :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전략적 통찰 제공
  • AI와의 결합 : Palantir AIP(AI Platform)로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 융합
  • 정부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 CIA, NSA, 미 육군 등 주요 정부기관과 장기 파트너십
  • 다양한 산업군 진출 : 헬스케어, 제조, 에너지, 금융 등 민간시장 확대
  • 지속적인 수익 성장 : 최근 흑자전환 성공, 높은 마진의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모델

■ 단점

  • 정부 수주 의존도 : 매출의 상당 부분이 미국 정부 기관에서 발생
  •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 : 실적에 비해 주가가 고평가된 측면이 있음
  • 해외 확장 한계 : 보안 이슈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는 사업 제약
  • 민간시장 침투 경쟁 심화 : Salesforce, Snowflake 등과의 시장 경쟁 존재

■ 차트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가중이동평균선(W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그동안 계속 이슈가 되어오던 팔란티어를 왜 지금 이시점에 쓰는지 차트 함 보겠습니다.

우선 월봉차트인데 확대해서 한번 보겠습니다.

글을 작성하는 시간 기준으로 월봉 마감이 13시간 남았습니다.

13시간후면 월봉이 마감되고 내일이면 7월봉이 시작합니다.

여기서 중요한점은 지금 월봉차트상 도지캔들입니다.

추세의 변곡이 발생하는 캔들이 떠있습니다.

물론 아직 13시간 남았지만 별다은 무빙없이 흘러가서 봉마감하면 도지캔들로 마감하게됩니다.

일봉상 고점에서 거래량 터지면서 하락하는 모습인데 50이평에서 스탑은 해줬습니다.

과연 오늘 장 시작하면 20이평을 넘는지가 중요할꺼같습니다.

20이평을 넘겨만 준다면 그래도 상승의 텀을 이어갈 수 있을껏같습니다.

하지만 오늘 봉마감이 20이평을 넘기지 못하면 5/20이평 데드크로스가 완성되기에

조정 스타트로 보면될것같습니다.

하락이 아닌 조정입니다.

기회!

지금 시점에서 보면 일봉상 앞전 매물대(초록색 박스)+전고 꼬리라인(빨간선)+매물대 미들라인 가격이 125불 정도되겠습니다.

피보나치 그려보면 0.236라인마저 겹치는 구간입니다.

지지를 받아주면 좋은 위치기는 하지만 저는 왜인지 100불정도까지는 내려와 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100불정도까지만 내려와주면 200이평과도 만나게 될것이고 RSI도 과매도구간에 진입할 타이밍이 될것같습니다.

피보나치상 0.5라인이 100불 정도인데 그 구간에서 의미있는 저항 및 돌파 라인이기에 지지가 한번 발생해줄 타이밍이라고 본다면

100불정도면 괜찮은 조정일것 같습니다.

물론 그렇게되면 20/50이평이 데드크로스가 발생하겠지만

200이평과의 크로스가 발생하지않고 말아 올려준다면 괜찮은 매수 타점이 될 가능성이 있어보입니다.

<결론>

 

글로벌 결제 인프라의 선구자, 페이팔


페이팔(PayPal Holdings Inc.)은 전 세계 4억 명 이상의 사용자를 보유한 글로벌 디지털 결제 플랫폼입니다.
1998년 설립 이후, 온라인 송금과 전자상거래 결제의 표준을 제시하며 핀테크 산업의 개척자로 평가받습니다.
초기에는 eBay의 결제 수단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디지털 지갑, P2P 송금, 중소상인 결제, 암호화폐 매매 서비스 등으로 영역을 확장 중입니다.
특히 미국 내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의 송금 앱 Venmo의 운영사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 상장정보 : NASDAQ - PYPL

페이팔(PayPal Holdings Inc.)은 전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온라인 결제 플랫폼 중 하나로, 디지털 금융의 초기 모델을 제시한 대표적인 핀테크 기업입니다.
1998년 ‘Confinity’로 시작하여, 이후 일론 머스크의 X.com과 합병, 2002년 eBay에 인수된 후 독립 기업으로 성장해왔습니다.

현재는 P2P 송금, 전자상거래 결제, 기업용 API 결제 인프라, 디지털 지갑 서비스, 암호화폐 매매 기능 등 종합적인 디지털 금융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장점

  • 글로벌 사용자 기반 : 4억 명 이상의 유저, 전 세계 200개국 이상에서 사용 가능
  • 디지털 지갑 및 송금 시장 선도 : Venmo와 PayPal 앱을 통한 간편 결제 및 P2P 송금 인지도 높음
  • 전자상거래 연동성 탁월 : Shopify, eBay, BigCommerce 등과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결제 허브 역할
  • 암호화폐 사업 진출 : PayPal 앱에서 BTC, ETH 등 주요 암호화폐 매매 및 보유 가능
  • 자체 스테이블코인(PYUSD) 발행 : 결제 및 디지털 금융 확장을 위한 새로운 인프라 구축 중

■ 단점

  • 경쟁 심화 : 애플페이, 구글페이, 블록(前 스퀘어) 등과의 경쟁이 치열해짐
  • 주가 부진과 실적 압박 : 2021년 고점 대비 주가 하락세 지속, 시장 기대치 대비 실적 변동성 존재
  • 수수료 기반 수익 구조 한계 : 수수료 중심의 사업모델에서 새로운 수익 다변화 필요
  • Venmo의 성장 정체 : 미국 외 지역 확장성 부족, Z세대 중심의 수요 포화 우려

💠 PayPal의 자체 스테이블코인, PYUSD란?

PYUSD(PayPal USD)는 페이팔이 2023년 8월 정식 발행한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으로,
1 PYUSD = 1 USD를 보장하며 미국 달러 예치금과 미국 국채를 기반으로 발행됩니다.
발행사는 Paxos Trust Company이며, 이는 기존의 Binance USD(BUSD)도 발행했던

미국 뉴욕 금융당국(NYDFS) 규제 하에 있는 기관입니다.

페이팔은 PYUSD를 통해 기존의 결제 시스템을 암호화폐 영역까지 확장하며,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생태계를 직접 운영하고자 합니다.
이로써 단순한 결제 플랫폼을 넘어 크립토 중심의 금융 인프라 기업으로 전환하려는 전략이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 PYUSD의 핵심 목적 및 기능

  •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 항상 1달러 가치 유지, 변동성 없이 안전한 디지털 결제 가능
  • ERC-20 기반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발행 : 타 지갑 및 디앱과의 상호 운용성 확보
  • 페이팔 및 Venmo 내 전송 및 결제 지원 : 미국 사용자 간 PYUSD 간편 송금 가능 (수수료 無)
  • 암호화폐와 전통 금융 간 연결 고리 역할 : 암호화폐 사용자와 실물 경제 간 결제 브릿지 구축

🔻 현재 한계점 및 향후 과제

  • 초기엔 미국 사용자 중심으로만 제한적 사용 가능
  • 글로벌 송금 수단으로 확대되기 위해서는 규제 및 정책 정비 필요
  • 경쟁 스테이블코인(USDT, USDC 등)에 비해 생태계 내 확장 속도는 아직 느린 편

■ 차트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가중이동평균선(W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페이팔 월봉차트입니다. 현재 고점대비 -75%인 상황입니다.

하나씩 확인해보겠습니다.

우선 월봉에서 매물대를 확인 해 볼수있는데, 3년 넘게 쌓인 매물대입니다.

지금 쌓은 매물대의 물량이 위에 쌓인 매물대 양의 수치상으로 4배는 많습니다.

(꼭 4배의 힘이 작용하는건 아닙니다. 단순 수치상의 이야기입니다.)

월봉상 50이평과 20이평이 골드크로스 직전인 모습입니다.

주봉역시 모든 이평이 모이기 시작하였습니다.

빨간 박스라인은 월봉 저항대 라인인데 가까운 위치에 저항이 있으니 

주가가 조금만 더 내려온다면 받오발만 하지않을까 싶습니다.

하단에 빨간선이 월봉추세선이니 월봉추세선 근방에서부터 매수를 시작하여

저항라인에서는 반익절을 해나가는게 좋을것 같습니다^_^

디지털 달러 시대의 핵심, 써클


써클(Circle)은 USDC라는 미국 달러 기반의 규제형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로,
디지털 자산과 전통 금융을 연결하는 글로벌 핀테크 선도기업입니다.
플랫폼 서비스는 결제, 송금, 토큰화된 자금, 유동성 제공, 개발자용 API 등 다양하며,
기업·개발자가 스테이블코인 기반 솔루션을 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상장정보 : NYSE – CRCL

  • 2013년 제레미 얼레어 및 션 네빌이 설립, 본사는 뉴욕
  • 대표 제품인 USDC는 2018년 출시된 이래 현재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 2위
  • 2025년 6월, IPO로 NYSE에 상장되며 11억 달러 조달, 시가총액 약 69억 달러 기록

장점

  • 규제·투명성 우위 : 미국·EU·영국·싱가포르 등 다수 라이선스 보유, 자산 월 4회 외부 회계법인 감사
  • 매출 안정성 : 2024년 매출 1.68억 달러 중 99%가 USDC 준비금 이자 수익에서 발생 
  • 글로벌 네트워크 : Stripe, Coinbase, MoneyGram 등 글로벌 금융사들과 제휴 
  • 거대 규모의 유통량 : 2025년 초 기준 USDC 유통량 약 600억 달러
  • 비즈니스 확장 가능성 : 결제, 금융 인프라, 디파이 솔루션 등 신규 수익 모델 진입 여지

단점

  • 금리 변동 의존 : 매출 대부분이 단기 미 국채 이자에 기반, 금리 하락 시 수익성 둔화 우려
  • 파트너 의존 구조 : Coinbase에 이자 수익의 약 60% 분배 구조 → 파트너 전략 변화 시 리스크 존재
  • 경쟁 심화 : 테더(USDT), 팍소스(PAX), 지엠디(GUSD) 등과 경쟁 구도 격화
  • 규제 리스크 : 미국 GENIUS Act 등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방향이 회사 전략에 큰 영향
  • 비즈니스 집중도 : 스테이블코인 중심 모델로, 신규 서비스 다변화가 미흡한 상태

■ 차트

써클이라는 기업은 비교적 최근에 상장한 아주 따끈한 기업입니다.

암호화폐투자를 하시는분들이면 VC라는 이야기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겁니다.

USDT에 대항하는 USDC를 만든 기업이면서 스테이블코인의 상용화이슈등으로 지금 전세계 이슈가 집중되어있습니다.

앞으로의 성장가능성을 본다면 저는 매우 긍정적으로 보고있습니다.

AI 클라우드 인프라의 강자


CoreWeave Inc.는 AI 워크로드에 특화된 GPU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미국 기업으로,
생성형 AI, 시뮬레이션, 고성능 연산(HPC) 등을 위한 인프라를 온디맨드 방식으로 제공합니다.

기존의 전통적인 클라우드(AWS, Azure 등) 대비 더 빠르고, 저렴하며, AI에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며,
특히 NVIDIA의 고급형 GPU(H100, A100, L40S 등)를 대규모로 보유하고 있는 것이 큰 강점입니다.

AI 산업 성장과 함께 수요가 급증하면서 빠르게 기업가치를 키우고 있으며,
Microsoft, OpenAI, Mistral AI 등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AI 클라우드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 상장정보 : NASDAQ - CRWV

CoreWeave Inc.는 2025년 미국 나스닥(NASDAQ)에 상장한 AI 클라우드 인프라 전문 기업입니다.
상장 당시 약 15억 달러 규모의 IPO를 진행하였으며, NVIDIA와 Microsoft 등의 투자 유치 이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상장 이후 AI 열풍을 타고 주가가 빠르게 상승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장점:

  • AI 특화 인프라 : 생성형 AI 훈련·추론, 고성능 연산 등을 위한 GPU 전용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 AI에 최적화된 아키텍처 보유.
  • 비용 효율성 : 기존 클라우드 대비 GPU 사용 비용이 저렴하여 스타트업과 연구기관의 수요 집중.
  • 확장성 : 수천 개의 NVIDIA 고성능 GPU를 유연하게 확장 가능한 인프라로 구성.
  • 전략적 파트너십 : Microsoft, Inflection AI, OpenAI 등과 대규모 계약 체결. 시장 내 신뢰도와 입지 강화.

단점:

  • 높은 설비 비용 : GPU 인프라 투자와 데이터센터 구축으로 인한 고정비 부담이 큼.
  • 강화되는 경쟁 : Lambda Labs, AWS Inferentia, Google Cloud TPU 등과 치열한 경쟁 구도 형성.
  • 수익성 불확실성 : 빠른 성장 과정에서 영업이익률 확보가 과제로 남아 있음.
  • 변동성 높은 주가 : AI 관련 이슈 및 기술 트렌드에 따라 주가가 급등락을 반복할 가능성 존재.

■ 차트 - 일봉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가중이동평균선(W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그동안 지수이동평균선을 이용해왔는데 가중이동평균선을 활용해보려합니다.보는방법은 일맥상통!)

우선 코어위브는 상장한지 얼마 안된 기업이라 아주 단기적인 관점만 말씀 드릴 수 있을꺼 같습니다.

차트상 5이평 아래로 캔들이 빠진 상태라서 20이평 아래까지 빠지는지 봐야될 상황입니다.

볼륨 밑에 RSI지표인데 지표상 하락다이버전스도 걸려서 70라인 밑으로 빠져있는 상태입니다.

RSI상 50라인 위에서 놀아준다면 좋겠지만 만약 쭉 빠진다면 RSI30이하가 될때쯤이면 50이평에 도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상장된지 얼마 안된 기업이라 극초반에 좋은 평단에서 사는것 일수도있지만

앞으로의 가치투자를 위해서 장투의 개념으로 접근하였으면 좋겟습니다.

데이터 클라우드 시장의 혁신 리더, 스노우플레이크


Snowflake Inc.는 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미국 기업으로,

기업들이 다양한 데이터 소스를 통합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기존의 온프레미스 방식과 달리, Snowflake는 완전히 클라우드 기반으로 운영되며,

유연한 확장성, 강력한 보안, 뛰어난 성능으로 데이터 인프라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독자적인 멀티 클라우드 아키텍처데이터 쉐어링 기능을 기반으로

Amazon Web Services, Microsoft Azure, Google Cloud와 연동되며, 기업 간 실시간 데이터 교류를 가능하게 합니다.
기술력과 성장성이 높게 평가되며, 장기적으로는 AI 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으로의 확장도 기대됩니다.


■ 상장정보 : NASDAQ - SNOW

Snowflake Inc.는 2020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한 데이터 클라우드 플랫폼 전문 기업입니다.
IPO 당시 약 334억 달러의 기업가치로 주목받았으며, 현재도 Amazon, Salesforce 등 주요 클라우드 기업과의 파트너십으로 시장 내 입지를 다지고 있습니다.

장점:

  • 기술력 :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되는 독자적 아키텍처 보유. 데이터 쉐어링 기술과 강력한 보안성 제공.
  • 시장 수요 : 전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수요 증가. Snowflake는 데이터 저장부터 분석까지 통합 솔루션 제공.
  • 확장성 : 사용량 기반 과금 모델로 고객사 맞춤형 사용 가능. 성장이 클수록 수익성도 자연스럽게 증가.
  • 파트너십 : Salesforce, AWS 등 주요 빅테크와 전략적 협력 관계. AI/ML 서비스 연동도 활발.

단점:

  • 높은 밸류에이션 부담 : 상장 후 급등한 주가로 인해 밸류 부담이 존재. 실적 대비 과대평가 논란 있음.
  • 경쟁 심화 : AWS Redshift, Google BigQuery, Databricks 등과의 경쟁 심화.
  • 수익성 부족 : 아직까지는 적자를 지속하고 있으며, 공격적인 R&D와 마케팅으로 이익 전환까지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
  • 시장 민감도 : 금리 인상, 경기 둔화 등 거시경제 변화에 따라 기술 성장주의 주가 변동성이 큼.

■ 차트 : 주봉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지수이동평균선(E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주봉차트상 추세선 및 200이평선을 돌파했습니다.

지금부터 매집의 기회 봐도될 모습입니다.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본다면 장기적으로 매집해봐도 될꺼같습니다.

양자 컴퓨팅 시장의 1등주자가 되고싶어!


Quantum Computing Inc.는 양자 컴퓨터의 실용화를 목표로 혁신적인 나노포토닉스 및 양자광학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미국 기업입니다.

독자적인 TFLN(얇은 리튬 나이오베이트 필름) 기반 칩과 양자 난수 생성기, 양자 인증 플랫폼 등에서 기술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기존 고전적 컴퓨팅 기술이 풀지 못했던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기술 모멘텀과 함께 주가 급등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상업화 초기 단계로 재무 건전성 및 수익성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정부·기관 계약 확대 여부 및 기술 상용화 성공 여부에 따라 주가가 크게 변동할 수 있습니다.


■ 상장정보 : NASDAQ - QUBT

Quantum Computing Inc.는 미국의 나노포토닉스 및 양자컴퓨팅 전문 기술기업으로, 양자칩 ‘Dirac’, 초소형 양자 난수 생성기(uQRNG), 위성 양자 인증 솔루션 등 다양한 응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초기 기술개발 및 시장 진입 단계이며, IonQ, D-Wave 등과 함께 양자컴퓨팅 분야의 선도 주자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장점:

  • 기술력 : 자체 설계한 양자광학 칩(TFLN 기반)과 Dirac 양자 플랫폼 보유. NASA 및 정부 기관 프로젝트 참여로 기술 신뢰도 보유.
  • 지수 편입 효과 : 러셀 2000/3000 지수 편입으로 기관 접근성과 거래량 유입 효과 발생.
  • 시장 기대감 : 양자컴퓨팅 상용화가 임박하면서 관련 기술 보유 기업에 대한 시장 관심 증가.
  • 기술적 모멘텀 : 최근 거래량 폭발과 함께 주가 급등. RSI, 이동평균선 등 기술 지표 우상향 중.

단점:

  • 수익성 부족 : 매출은 연간 수십만 달러 수준으로 극히 미미하며, 순손실 규모는 수천만 달러로 재무 리스크 존재.
  • 희석 리스크 : 적자 지속으로 외부 자금 조달 시 주식 희석 가능성 존재.
  • 경쟁 심화 : IonQ, Rigetti, D-Wave 등과 비교 시 상대적으로 자금력과 파트너십에서 열위.
  • 주가 변동성 과다 : 최근 1개월 기준 +100% 이상 급등, 베타(β) 수치 3.8 이상으로 고위험 종목군.

■ 차트 : 월봉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지수이동평균선(E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QUBT 월봉 차트입니다.

최근 몇달간 엄청난 거래량을 동반하면서 월봉 상승 추세선을 강력하게 돌파하고 지지까지 마친상태입니다.

지금 시점에서 앞선 4번의 월봉 저항라인에 도달하였으며, 돌파를 해줄지 지켜봐야될 모습입니다.

그동안 적자였다가 최근 흑자전환도 하였다고하니 지켜볼만한 종목일꺼라 판단하였습니다.

월봉저항라인을 뚫지 못한다면 20이평에 닿을때 본격적인 매수 해볼까 싶기도합니다.

(저는 11.08에 매수가 들어가있는 상태입니다.)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의 다크호스


Lucid Motors는 프리미엄 전기차를 개발하여 테슬라와 경쟁하는 차세대 전기차 기업입니다.

혁신적인 배터리 기술과 고급스러운 디자인, 긴 주행거리를 무기로 하여 전기차 시장에서 차별화를 꾀하고 있으며,

특히 고성능 럭셔리 전기차 부문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아직은 대규모 수익 창출 단계에 이르지는 않았지만, 기술력과 브랜드 가치, 고급 수요층을 기반으로 한 성장성이 기대되며,

향후 상업적 성공 여부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투자 가치가 변동할 수 있습니다.


■ 상장정보 : NASDAQ - LCID

Lucid Motors는 미국의 전기차 제조 기업으로, 프리미엄 전기차 ‘Lucid Air’ 모델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고성능 배터리 기술과 자체 생산 설비를 통해 높은 수준의 주행거리 및 성능을 구현하고 있으며, 리비안(Rivian), 테슬라(Tesla) 등과 함께 전기차 시장의 핵심 경쟁자로 꼽힙니다.

 

장점:

  • 기술력: 루시드 에어는 800km 이상 주행 가능한 세계 최장 주행 전기차로 평가받으며, 자체 배터리 기술과 에너지 효율성에서 강점을 보임.
  •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인테리어로 고소득층 수요층을 겨냥.
  • 자체 생산 공장: 애리조나주에 자체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어 생산 최적화와 품질 관리에 강점.
  • 사우디 아라비아 PIF 투자: 중동의 국부펀드(PIF)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여 자금 안정성 확보.

단점:

  • 수익성 부족: 아직까지 대규모 판매 실적 및 흑자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재무적 리스크 존재.
  • 생산 지연 우려: 초기 양산 과정에서 일정 지연 및 물류 이슈가 발생함.
  • 시장 경쟁 심화: 테슬라,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와 경쟁 중.

■ 차트 : 월봉-트레이딩뷰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지수이동평균선(E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저점에서 거래량이 빵빵하게 터져있습니다.

추세선 라인 상방 돌파만 해준다면 좋은 포퍼먼스 기대해볼만하지만 어디까지나 차트적인 관점이고

실적도 중요하니 그래비티 출시와 판매가 어떻게 회사이익에 이어질지 봐야겠습니다.

(저의 평단은 2.61달러 / 이것도 초창기 고점에서 손절치고 재진입한 평단 ㅜ_ㅜ)

도심 항공 모빌리티의 선두주자


Joby Aviation은 전기 수직이착륙(eVTOL) 항공기를 개발하여 도심 항공 모빌리티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경쟁사들과 비교하여 기술력, 파트너십, 인증 진행 상황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향후 상업적 운항을 통해 수익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수익이 발생하지 않아 재무적 부담이 존재하여

리스크 관리를 염두에 둔 투자가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 상장정보 : NASDAQ - JOBY

Joby Aviation은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전기 수직이착륙(eVTOL) 항공기를 개발하여 상업용 항공 택시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토요타, 델타항공, NASA 등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기술력과 시장 진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장점:

  • 기술력: 30,000마일 이상의 비행 테스트를 완료하며, 기술적 신뢰성을 확보함.
  • 파트너십: 토요타, 델타항공 등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자금력과 시장 접근성을 강화함.
  • FAA 인증 진행 상황: 인증 절차에서 경쟁사보다 앞서 있으며, 상업적 운항에 한 걸음 더 가까움.

단점:

  • 재무적 부담: 상업적 수익 창출 이전까지 지속적인 자금 투입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재무적 부담이 존재함.
  • 시장 경쟁: 다양한 경쟁사들이 시장에 진입하고 있어, 시장 점유율 확보에 대한 도전이 있음.

■ 차트 : 월봉-트레이딩뷰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지수이동평균선(E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최근 거래량이 많이 들어온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나리오는 3가지 정도 보겠습니다.(화살표보시면됩니다.파란색-1 / 초록색-2 / 살구색-3)


1번 시나리오 - 월봉 추세선 상방돌파 기준 하늘색 원 두가지 타점 잡고 진입 및 50이평 상방 돌파 및 20이평 상방으로 고개드는중

2번 시나리오 - 우러봉 추세선 저항 하락시 20이평이 50이평 골드크로스 내지못하고 하락할 경우 하단 상승추세선 지지확인후 매수
3번 시나리오 - 추세이탈시 관망의 관점을 가지고 직전 저점을 깨지 않는다면 이평 말아올릴때까지 봐야됨.하지만 직전 저점도

                       깨지면 3.15불 저점구간 반등까지는 볼 수있는 여유는 있으나 최후 마지노선임


개인적으로 2번 시나리오에서 포지션을 잡게되면 최고점까지 기대수익률은 180%정도이며, 손절라인까지는 48%정도 나옵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하에 신중하게 진행해주세요^_^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