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질환 정복을 향한 질주” 유전자치료 시장의 숨은 강자


헬릭스미스는 유전자치료제 개발에 집중하는 바이오테크놀로지 기업으로,

희귀·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혁신적 신약 개발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대표 파이프라인인 VM202는 당뇨병성 신경병증(DPN)과 루게릭병(ALS) 등 다양한 질환에 적용 가능성이 있으며,

미국 FDA 임상 3상 등 글로벌 임상 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국내 최초로 유전자치료제 상업화에 도전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기반의 R&D와 IP 확보 전략을 통해 글로벌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헬릭스미스는 지속적인 기술 이전,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그리고 바이오 생산 플랫폼 내재화를 통해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습니다.


■ 상장정보 : KOSDAQ – 084990

  • 설립연도 : 1996년
  • 상장연도 : 2006년
  • 모회사 : 없음 (창업자 주도형 기업)
  • 주요사업 : 유전자치료제 개발, 바이오신약 연구개발, 기술이전
  • 기술기반 : AAV 기반 유전자전달기술, 자체 임상개발 역량, 바이오의약 제조기술
  • 마켓 포지션 : 국내 유전자치료제 선도기업, 글로벌 임상 3상 진입 기업

■ 장점:

  • 파이프라인 집중형 전략 : 대표 파이프라인(VM202)에 역량 집중, 기술 검증 기반의 임상 확장
  • 글로벌 임상 데이터 보유 : 미국 FDA 임상 진행 경험 보유로 신뢰도 높은 데이터 확보
  • 희귀질환 치료시장 타겟팅 : 고가치 시장을 중심으로 전략적 진입
  • 기술 이전 및 협력 가능성 : 국내외 제약사와의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 가능성 확보
  • IP 기반 경쟁력 : 특허 중심의 글로벌 권리화 전략으로 진입장벽 형성

■ 단점:

  • 임상 불확실성 : 임상 진행 지연 및 실패 가능성 존재
  • 재무 구조의 취약성 : 지속적인 R&D 투자로 인한 적자 구조
  • 상업화 단계 미도달 : 아직 제품 출시 전 단계, 수익화 전환 시점 불확실
  • 주가 변동성 : 기술 실패/성공에 따라 주가 급변동 가능성
  • 규제 리스크 : 유전자 치료제에 대한 규제환경 변화 가능성 존재

■ 차트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가중이동평균선(W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헬릭스미스 월봉차트입니다.

주가가 181,584원을 최고점으로찍고 약 98%정도 빠져있는 상태입니다.

최저점에 매우 가까우며, 저점부근에서 들어온 거래량이 의미있어보입니다.

거래량이 들어온 이후 매물대를 만들어가고있습니다.

분할매수하기 좋아보이는 시점입니다.

지금부터 매수해서 매물대 상단을 뚫는다는가정하에

1894원가격이 깨지면 손절하는걸로 잡으면 -36%정도이며, 

매물대 상단을 돌파하여 거래량캔들의 몸통까지만 익절구간으로 잡으면 110%정도의 수익입니다.

손익비 3:1로 괜찮은 도전인것 같습니다.

손절 라인이 매우 명확해서 도전해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