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랫폼부터 콘텐츠까지, 디지털 생태계를 선도하는 기업 [카카오]
플랫폼부터 콘텐츠까지, 디지털 생태계를 선도하는 기업
카카오는 메신저, 포털, 모빌리티, 금융, 콘텐츠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바탕으로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해왔으며, 전방위적 확장을 통해 디지털 생태계 중심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특히,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한 광고, 커머스, 페이 등 수익모델을 다각화하고 있으며,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게임즈, 카카오모빌리티 등의 자회사를 통해
콘텐츠와 서비스 전반에 걸친 통합 시너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및 글로벌 IP 확장을 주요 전략으로 삼아, 기술 기반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상장정보 : KOSPI – 035720
카카오는 2010년 카카오톡 출시를 기점으로 플랫폼 기업으로 급성장했으며,
2014년 다음(Daum)과의 합병을 통해 종합 IT기업으로 재편되었습니다.
주요 수익은 카카오톡 기반 광고/커머스/결제,
그리고 카카오엔터와 게임즈를 통한 콘텐츠 매출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카카오브레인을 중심으로 AI 기술력 확보 및 글로벌 진출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장점:
- 강력한 플랫폼 경쟁력 : 월간 사용자 수(MAU) 4천만 명 이상을 보유한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 확장 가능.
- 콘텐츠 기반 성장 전략 : 웹툰·웹소설 IP를 기반으로 한 글로벌 콘텐츠 확장(북미, 동남아, 일본 등).
-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 모빌리티, 뱅크, 페이, 게임 등 자회사 기반의 수익모델 다변화.
- 기술 내재화 및 AI 투자 : 카카오브레인을 중심으로 AI 기술 고도화 진행 중.
- 브랜드 파워 및 충성도 : 사용자 기반의 높은 브랜드 충성도와 국내 플랫폼 시장 내 독보적 입지.
단점:
- 공정거래 및 규제 리스크 : 플랫폼 지배력 강화에 따라 정부 규제 및 독점 이슈 지속.
- 경영 리더십 불안정성 : 최근 경영진 교체와 관련된 잡음 및 내부 의사결정 불확실성 존재.
- 해외 시장 확장 한계 : 콘텐츠 외 서비스 부문은 아직 해외에서 영향력 미미.
- 수익성 둔화 우려 : 콘텐츠 제작 비용 증가와 광고 시장 침체로 인한 수익성 압박.
- 사회적 책임 리스크 : 일부 계열사의 사회적 논란 및 윤리 경영 문제로 브랜드 이미지 훼손 가능성.
■ 차트
추세선과 이동평균선을 이용한 분석 시나리오
<가중이동평균선(WMA) - 5(하늘색) / 20(주황색) / 50(흰색) / 200(파란색)>
카카오 월봉차트입니다.
초록색 라인 그어둔 구간이 주요 지지대로 판단하고 그려둔자리입니다.
확대해서 보겠습니다.
지지라인에서 지지받으며 추세선 이탈까지 나와주었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200이평을 넘지 못하다 이번달은 거래량을 동반하면서 뚫어주는 모습입니다.
흐름이 좋아보입니다.
날봉상 보면 급격한 상승을 보이며 이평들이 고각으로 오르는 모습입니다.
추세가 쌔다고 판단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럴때는 보통 5이평타고 계속 올라갑니다.
추이는 봐야겠지만 20이평에 닿을때 매수보는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습니다.
하지만 상승추세를 타고 매수하는것이기에 자칫 잘못하면 고점에 물리는 수가 나오니 잘 판단하여서 매수하시기 바랍니다.